생활의 지혜

불면증 극복하는법 A to Z 필독

방랑자 2019. 1. 30. 20:08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국민 여러분들이 일에 치여살고 제대로 놀지 못해서 잠을 잘 못 주무시는 분들 참 많으실 겁니다. 생활할 때, 스트레스로 규칙이 많이 흐트러져 불면증 겪으신 분들 정말 많으실텐데요, 그래서 오늘 필독하기 좋은 불면증 극복하는법 A to Z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잠은 실제로 하루 컨디션의 80% 이상을 좌우할 정도로 정말 중요한 요소 입니다. 여러분들은 어젯밤에 잠 잘 주무셨는지요? 여러분들이 모르셨던 수면에 대한 진실을 알아보도록 할겁니다.


일단, 국가마다 평균 수면 시간이 각각 다릅니다.





프랑스의 경우 평균 수면 시간이 거의 9시간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그에 비해 7시간 49분으로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습니다.






2015년에 20대부터 70대까지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의 수면습관을 조사했었던 결과 역시 숙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한 분들이 많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쉬이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습관이 심해질수록 제대로 잠들지 못하는 '불면증'으로 이어지며, 더 심각해지면 몇 년간 지속될 만성 불면증으로 갈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여기서 한 번 본인이 불면증으로 고생하고 계신지 자가 진단하여 넘어가보도록 합시다.



< 불면증 체크리스트 > - 해당 사항에 가까우시다면 높은 숫자를 체크하시면 됩니다.



  • 잠자리에 누운 뒤 잠 들려고 하는데 30분 이상 소요된다. [ 0 1 2 3 4 ]

  • 숙면 들자마자 얼마 안되 다시 깬다. 다시 잠들기 어렵다. [ 0 1 2 3 4 ]

  • 새벽에 매우 일찍 일어난다. (다시 잠들지 못함) [ 0 1 2 3 4 ]

  • 수면 상태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생각한다. [ 0 1 2 3 4 ]

  • 수면 문제 때문에 일상 생활에 방해된다. [ 0 1 2 3 4 ]

  • 수면 문제가 타인들이 걱정할 정도다. [ 0 1 2 3 4 ]

  • 스스로도 수면 상태에 대해서 걱정된다. [ 0 1 2 3 4 ]



각 문항에 점수를 더하여 총점을 내보시길 바랍니다.


0 - 7 : 불면증이 없는 상태

8 - 14 : 기분에 조금 못 미치는 정도의 불면증

15 - 21 : 중도 불면증

22 - 28 : 불면증이 심한 상태





세계 10개국에서 8천 명 (한국인 5백명)의 조사대상으로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가 무엇인 지 알아보았는데요, 제일 응답이 높았던 순으로 알려드리자면..


  1. 일에 관한 스트레스 43%

  2. TV 및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방해 27%

  3. 가족, 건강, 걱정 18%

  4. 잠들기 저 섭취한 카페인 및 자극적인 요소 17%

  5. 잠자기 전의 과식 15%

으로 일에 관한 스트레스가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이렇게 수면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 좋은 8가지가 있는데요,

  1. 많이 섭취하게 됩니다.
  2. 혈압이 높아집니다.
  3. 오래 살지 못합니다.
  4. 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 체중 증가합니다.
  6. 기억력을 약화시킵니다.
  7. 뇌 사용량이 줄어들게 합니다.
  8. 성격을 예민하게 만듭니다.

이렇게 불면증 때문에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많이 먹게 되고, 혈압이 높아지며, 기억력이 감퇴되는 등 악영향이 생길 수 있으니 불면증을 흔한 질병으로 생각하고 방치하면 안됩니다.




그렇다면 수면을 방해하는 원인을 제거해주는 것이 정말 중요하겠죠? 잠을 잘 잘 수 있는 6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자기 좋은 침실의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2. 규칙적으로 생활합니다.
  3. 계획적으로 낮잠을 자는 시간을 정합니다. [15분부터 길어도 1시간까지.]
  4. 방해되는 요소를 제거하기
  5. 운동하기 [40분 이상 운동하기]
  6. TV 대신에 독서


< 불면증을 극복하는 법 일상생활 TIP >




  • 침실에 소음을 제거하고, 온도 및 조명을 안락하게 조성

  • 잠 자는 시간과 아침 기상 시간을 규칙적으로 정해두세요.

  • 낮잠은 되도록이면 15분 이내까지만 주무세요.

  • 카페인 / 알코올 / 니코틴 섭취하지 말아주세요.

  • 과도한 스트레스 및 긴장은 피해주세요.

  • 낮에 40분 정도 땀이 배출될 정도로 운동해주세요. [늦은 밤에 운동하는 건 피하기]

  • 잠자리에 누워서 20분 안으로 잠이 오지 않으시면 피곤한 느낌이 생길 때까지 깨어 있으세요.


만약에 불면증이 한 달 이상 계속 지속되시거나 일상생활에도 지장이 생길 정도라면 전문의료기관에 내원하셔서 진료 받으셔야 합니다. 저 또한 불면증으로 힘들었는데 잠을 잘 잘 수 있는 것 만큼이나 좋은 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들도 이 불면증 극복하는법 A to Z 정보를 통해 건강하고 안락한 숙면을 취하시길 바라겠습니다!